재혼은 새로운 부부관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가족규칙과 역사를 만들어가는 점진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족원들은 각자에게 부여된 새로운 역할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변화를 경험하고 이에 적응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최근 재혼가족 연구에서 나타난 변화는, 성공적인 재혼가족의 특성을 밝히려는 것으로 연구의 초점이 바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가족이 변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지지적인 목표를 제공한다. 다른 유형의 가족에서처럼 모든 가족구성원이 만족감과 소속감을 느끼는 것에 한계가 있지만, 자녀와 부모가 새로이 형성한 가족생활 속에서 따뜻한 대인관계와 만족감을 경험하는 재혼가족이 되기 위한 지침은 다음과 같다.
1. 재혼을 위한 준비기간을 가지고 재혼준비교육을 받는다.
이혼이나 사별 후부터 재혼하기까지는 준비기간이 필요하다. 전 배우자에 대한 감정이 정리되고 심리적으로 이별이 가능하고, 재혼에 대한주위의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때 즘 재혼을 계획해도 결코 늦지 않다. 또한 재혼가족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재혼가족생활의 복잡성, 즉 계부모가족의 특성과 가족관계의 역동성 등에 대한 이해가 우선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재혼 전에 두 사람이 서로 기대하는 바와 한계에 대해서 충분히 나눔으로써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 재혼할 부부가 함께 재혼준비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 재혼을 원하는 사람들은 재혼 전부터 배우자 선택과 재혼준비교육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함으로써 현실적인 기대와 예비부부로서의 유대감 및 사회적 자원의 활용을 바탕으로 한 성공적인 재혼생활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2. 현실적인 기대를 갖는다.
재혼가족과 관련한 신화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현실적인 기대를 하도록 한다. 재혼한 부모와 계부모는 그들 자신과 자녀들에게 지나간 과거의 상처를 보상받고자 하는 요구가 강하기 때문에 재혼가족의 자녀와 성인들은 새로 형성된 가족에 대하여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기 쉽다. 재혼가족 역시 초혼가족과 같을 것이라는 기대, 계부모는 별 노력을 하지 않아도 계자녀에게 쉽게 애정을 느낄 것이라는 기대, 계자녀는 계부모의 훈육을 잘 수용할 것이라는 기대, 새로운 가족의 전통과 의례는 노력이나 준비가 없어도 자연스럽게 생겨날 것이라는 기대 등으로 이러한 기대는 모두 재혼가족 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에 문제를 초래할 정도로 비현실적이며, 만일 기대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가족원들은 혼란과 불안, 죄책감 등을 느끼고 가족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사회의 가족 유형 중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안 현대사회의 가족 유형 중재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안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프로그램명 : "우리, 다시 가족으로 : 재혼 가족의 소통과 공감 프로젝트"
재혼 가족의 다양한 모..
[가족복지론] 재혼가족에 관해 재혼가족
재혼가족에 대한 관심은 초혼의 핵가족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 부정적인 시각 때문에 아직도 재혼가족을 불완전한 가족으로 인식하게 하고 재혼가족이 이 사회에 건강한 뿌리를 내..
[가족복지론]재혼가족 Ⅰ. 서 론
가족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의 유지와 존속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사회의 기본 단위이다. 산업사회 이후, 경제발전과 함께 한국도 가족의 형태의 다양한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