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기초실습 - 소자의 종류와 특성

1. 통신기초실습 - 소자의 종류와 특성.hwp
2. 통신기초실습 - 소자의 종류와 특성.pdf
통신기초실습 - 소자의 종류와 특성
1.저항기 (Resistor)

저항기란
저항은 전하의 흐름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저항은 여러 가지 재료들로 만들 수 있지만, 반드시 전류를 통할 수 있는 재료여야 한다.
저항은 회로에 공급되는 파워를 소비하며 열로써 방출 시킨다. 따라서 저항에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파워가 있고 이것이 용량이 된다.
저항기를 기능에 따라 나누면 고정 저항기와 가변 저항기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저항” 이라고 하면 고정 저항기를 의미한다.

저항치는 온도에 의하여 변화하며 이것을 온도계수라 한다.
온도계수가 300ppm/℃인 저항의 온도가 20℃ 상승하면 저항값은 0.3% 증가한다.
따라서 정밀 회로를 만들 때에는 온도게수를 계산에 넣을 필요가 있다.
저항은 본질적으로 열 잡음을 발생한다. 오디오등 특히 저잡음이 필요한 때에는 특별히 저 잡음용의 특수 저항이 쓰여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금속 피막 저항기가 좋은 특성을 갖고 있다.
저항에 전류가 흐르면 반드시 열이 발생하게되며 그로인해 저항값이 변화한다.열의 허용 범위를 정격 전력으로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정격 전력의 1/2 이하에서 사용한다.
저항은 주파수가 높은 점에서 사용하면 구조상 코일이나 콘덴서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기 때문에 순수한 저항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보통의 카본 저항이라면 수십MHz 까지는 사용할 수 있으나 코일 저항은 구조가 코일 그 자체이기 때문에 고주파에는 사용할 수 없다
특히 큰 전류에 사용한 저항은 자체 발열에 의하여 저항에 오차가 발생하며 사용 초기에는 저항이 상온으로 돌아오면 원래의 값으로 회복되나 오랜시간동안 발열이 지속되거나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래의 값으로 돌아오지 않을 수 있으며 오차또한 커지게 된다.
때문에 충분히 여유를 갖고 사용해야 한다.

저항값 읽기

색띠
제1숫자
제2숫자
제3숫자
제4숫자
검정

001

갈색

11
1x10
±1[%]
빨간색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