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중화민국(中華民國, 1911-1948) 시기 의복 2
1) 장삼(长衫)
2) 단오(短袄): 짧은 저고리
4. 중화민국(中華民國, 1911-1948) 시기 의복 3
1) 1920년대 말의 여성 복장
- 치파오(旗袍, qípáo)
- 유래 및 전설
- 치파오의 변천
- 1920년대의 치파오
- 1930년대의 치파오
- 1940년대의 치파오
2) 1920 ~ 1930년대 여성 옷
3) 1920 ~ 1930년대 원피스
4) 매듭단추(盘扣)
- 매듭단추의 모양
- 현대의 매듭단추(盘扣)
5.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1) 1950년대의 중국복식 : 레닌복 (列宁装)
2) 1950년대의 중국복식의 특징: 첫 번째 여성
3) 1950년대의 중국복식 : 작업복
4) 1950년대의 중국복식 : 원피스
5) 1950 ~ 1960년대의 교복, 일상복, 작업복
6) 1960년대의 중국복식 : 구기(球衣),해혼삼(海魂衫)
7) 1960년대의 중국 복식 : 군장(军装)
8) 1970년대의 중국유행 : 문화대혁명시기의 군장
9) 1970년대의 복식
10) 1980년대의 복식 : 개혁 및 개방시대
11) 1980년대의 복식 : 빨간치마
12) 1980년대의 복식 : 청바지
13) 1980년대의 복식 : 보잉 선글라스
14) 1980년대의 복식 : 운동복과 비키니
15) 1990년대의 복식 : 미니스커트의 유행
16) 1990년대의 복식특징 : 슈퍼모델의 출현
17) 2000년대의 복식특징 : APEC 정상회담
6. 기타 자료 : 중국최초의 의상쇼
7. 전족(缠足)
8. 중국 영화속 치파오(화양연화, 색계
1. 의상(衣裳)
고대 중국인들은 오랜 세월 동안 상의와 하의를 구분하여 왔다.
- 의(衣) : 상의의 뜻
- 상(裳) : 하의의 뜻
따라서 격식을 차리는 자리에서는 대부분 의와 상으로 이루어진 예복을 착용하였다. 전국시대에 심의(深衣: 몸을 깊숙이 파 묻힐 수 있는 옷, 투피스 형식으로 상의와 치마가 연결되었음), 한나라 때 처음 등장한 포(袍, 중국식 원피스), 근대의 치파오(旗袍) 등 상하의가 한데 붙어 있는 의복도 유행하였다.
- 마괘 또는 마고자(马褂, mǎguà): 남자들이 장포(长袍, chángpáo) 위에 입는, 허리까지 오는 짧은 상의. 검은색으로 된 것이 많으며 원래는 만주족이 말을 탈 때 입는 옷이었음
- 과피모(瓜皮帽, guāpímào): 중국식 모자의 일종. 여섯 조각의 검은 천을 잇대어 만든 것으로, 수박을 반 자른 모양처럼 생겼고 차양이 없으며 정수리에 꼭지가 달려 있음
- 중산복(中山服, zhōngshānfú) : 중화민국을 건국한 손문(孙文)선생이 고안하였기 때문에 그의 호인 중산(中山)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복보다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대칭을 바탕으로 한 단정한 맵시를 중시하였는데, 1923년에 처음 등장한 이후 중국 남성들의 대표적인 정장으로 자리잡았다
중국 고대 선비들의 생활사 저자 쑨리췬|역자 이기흥|인간사랑 |2014.08.30
중국의 옷 문화 저자 왕웨이띠|역자 김하림, 이상호|에디터 |2005.07.20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한,중,일 저자 홍나영, 신혜성, 이은진|교문사 |2011.05.31
중국의 역사 의식주를 통해 본 저자 이재정|가람기획 |2005.02.10
[중국문화] 중국의 의식주의 변천과 문화사적 의의 [중국문화] 중국의 의식주의 변천과 문화사적 의의
목 차
1. 중국의 衣
1.1 중국 전통의상의 시대별 변천
1.2 대표적 전통의상과 문화사적 의의
2. 중국의 食
2.1 중국 음식의 시대별 변천
2.2 중국의 4..
일본의 복장문화, 기모노 일본의 복장문화기모노[着物 ]
목 차
기 모 노 의 어 원
기 모 노 의 특 징
기 모 노 입 는 법
기 모 노 의 역 사
여 러 가 지 기 모 노
그 외
기모노(着物)란
기모노의 어원
입다의 기루(着)+모노(物)의 합..
전통의상 - 우리나라 고유의복의 기원과 한복의 종류 및 한복에 관해서 [[[ 차례 ]]]
서론) ... 3
본론) ... 3
(1) 한복이란 ... 3
(2) 한복의 특성 ... 3
1) 형태의 구성상의 특성 ... 3
2) 심미적 특성 ... 4
3) 기능적 특성 ... 4
(3) 한국 복식의 변천사 ... 5
1) 삼국시..
방통대 2학기 중간과제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따라서 농업노동, 한복, 민소제도는 각각 경제·문화·법제의 다른 영역을 다루지만, 모두 조선사회의 생활세계와 가치관을 드러내는 중요한 창이다.
농업노동은 공동체적 협업과 신분질서를, 한복은 사회적 위계와 ..
일반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 전통복식의 학문적 발전과 문화적 계승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전통의상학과에서 이루고자 하는 가장 큰 목표는 한국 전통 복식의 깊이 있는 학술적 연구와 현대적 재..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 한국민속 민중사
-한국의 의식주
衣
食
宙
槪要
衣 전통 의복 소개
衣 조선시대의 복식
복식문화의 발달
유교이념의 추구
중국과의 교역
조선 전기의 복식
모든 계층에 따른 복식 정비
고려시대 도입된 몽..
[현대패션] 1960-2000 동안의 복식의 흐름,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1960~2000 동안의 복식의 흐름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목차]
1. 서론
2. 본론
2-1. 1960년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및 여성 복식 스타일
2-2. 1970년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및 여성 복식 스타일
2-3. 1980..
[합격자소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전통의상 연구 또는 관련 경험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전통의상학과에 진학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학문적 탐구를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전통복식의 보존 및 창조적 계승 방안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