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복지의 역사(미국, 일본, 한국의 산업복지 역사와 변천과정) 보고서. 조별 모임을 통해 여러차례 수정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거쳤구요. 교수님도 칭찬해주신 레포트입니다.
1. 산업복지의 역사
1) 생성기
2) 모색기
3) 도약기
4) 성숙기
2. 미국의 산업복지 변천과정
1) 기업 공동체의 시기(1기 1880~1910년대)
2) 복지 자본주의의 시기(2기 1910~1930년대)
3) 복지 자본주의의 쇠퇴 시기(3기 1930~1940년대)
4) 산업복지 제도화의 시기(4기 1950~1970년대)
5) 신자유주의의 시대(5기 1980년대 이후)
3. 일본의 산업복지 변천과정
1) 1기 1910~1930년대
2) 2기 1930년대 말~1945년
3) 3기 1945년~1958년
4) 4기 1958년 이후
4. 한국의 산업복지 변천과정
1) 산업복지의 전사(1961년 이전)
2) 산업화의 시작과 산업복지의 출현(1961년~1972년)
3) 고도성장과 산업복지의 다양화(1973년~1987년)
4) 노동운동의 활성화와 기업복지의 발전(1987년~1998년)
5) 경제위기 이후의 상황 (1998년 ~ )
산업복지는 노동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노동이 인류와 그 역사를 같이 했음에도 노동자라는 개념이 생겨난 것은 산업혁명 이후로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노동자가 권리의 주체로 인식된 것은 그보다도 더 이후의 일이다.
선진산업국과 한국의 산업복지발전과정을 보면 비록 산업화의 진전정도에 차이에 따라 시행시기가 다를 뿐 초기에는 사용자의 온정주의에서 출발하여 산업화의 진행과 함께 노동시장에서의 노동력 수급불균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노동 운동이 강화되면서 점차 노사간 단체교섭의 장으로 인식되었고 지금에 와서는 당연한 노동자의 권리로써 인정되는 과정을 거쳐왔다. 한국, 미국, 일본의 산업복지 발달사를 이해하고자 한다.
1. 산업복지의 역사
1) 생성기
작업조직과 관련된 사회복지는 근대이전에 중세시대에 존재했던 여러 길드 공동체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현대적인 의미의 산업복지는 18세기 이후에 등장하였다. 초기 산업복지를 조직화한 것은 산업의 생산형태가 공장제 수공업에서 기계공업으로 변화하여 장원제도의 붕괴, 산업조직에서의 길드제도 붕괴와 1․2차 인클로저(Enclosure)운동을 거치면서 토지에서 밀려난 농민들이 작업조직에서의 열악한 환경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노동을 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노동자 스스로 자조조직들을 이루게 되어 우애조합, 공제조합, 생활협동조합 등과 같은 많은 수의 자조조직들이 18세기에 등장한다.
18세기 중엽 산업혁명이 가장 먼저 일어난 영국은 영국의회에서 빈민법, 공장법과 같은 노동자 개인적, 사회적 욕구에 대한 입법안들을 세웠지만 보다 현대적인 형태의 국가복지는 1883년 독일의 노동자보험을 통해 현실화 되었다. 산업복지의 생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관점은 작업조직에서 제기되는 개인적, 사회적 욕구의 당사자인 노동자들과 그들의 집합적 조직의 힘겨운 노력과 적극적 투쟁을 통해 발전해왔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