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산업재해 개요와 산업재해의 종류 그리고 현장실습생의 산업재해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심각한 산업재해 현황과 현장실습 중 주의해야 할 산업안전보건과 산업재해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어떤것이 있는지 설명함.
특히,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각종 안전,경고 위험 표지등을 컬러풀하게 삽입하여 손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함
목차
1. 산업재해의 개요
2. 산업재해의 종류
3. 현장실습생의 산업재해 처리
4. 산업재해 현황
5. 현장실습 중 주의해야 할 산업안전보건
6. 산업재해 예방
본문내용
정의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사고(부상,장애), 질병, 사망을 말함
1.산업재해의 개요
▪ 업무 수행 중 산업재해발생시 근로복지공단에 요양신청을 하고 승인되면, 병원비, 평균임금의 70%(휴업급여)
를 지급 받을 수 있음
▪ 장애가 있는 경우 장애급여와 후유증상에 대한 진료를 받을 수 있음
▪ 증상이 재발할 경우 재요양 신청도 가능
▪ 업무상 사망한 경우 유족은 유족연금과 장례비 받을 수 있음
▪ 요양기간과 요양 이후 30일간 절대 해고 불가
2) 범뮈
근로자가 업무 뿐만 아니라 출장, 교육시간, 거래처 접대등 업무와 관련있는 주변업무로 인한 질병, 부상, 사망
하는 경우를 말함
< 중 략 >
4. 산업재해 현황
한국은 건설 , 조선, 화학 등의 유해위험 업종의 비중이 큼
2011년 사망사고 발생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3위
업종별 사망사고 현황(2011년)
1위: 건설업 41.7%
2위: 제조업 28.0%
3위: 기타사업(농림,어업 서비스업) 21.2%
4위: 운수, 창고, 통신업 7.8%
5위: 광업 1.2%
근로자의 건강 및 작업환경보호(건강관리, 산업재해예방, 작업환경관리) 근로자의 건강 및 작업환경보호(건강관리, 산업재해예방, 작업환경관리)
목차
근로자의 건강 및 작업환경보호
I. 건강관리
1. 건강진단제도
2. 석면 제조, 수입, 사용 등의 금지
3. 진폐의 예방과 진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