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의 대다수 생물들이 살 수 없다고 생각하는 화산지대, 햇빛도 들지 않는 수심 몇 천 미터의 심해, 남극의 얼음 대륙, 사람이 둥둥 떠 있을 정도로 높은 염도의 사해, 청바지에 구멍이 날 정도로 강한 산성의 광산폐수 등의 극한환경(extreme environment)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극한생물(extremophile)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극한생물체가 극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는 것은 극한생물체의 어떠한 특성 때문일까
현 과학계가 가장 지지하고 있는 학설들에 따르면, 생물은 특정 유전자를 지녀 그 특이성에 따라 특이 환경에서 살 수 있다고 한다. 모든 생명체가 각기 지니고 있는 유전자의 종류가 너무도 다양하기 때문에 빙산에서 살 수도 있는 것이고 사해에서도 살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인간은 극한의 지방에서 살기 힘들지만 극한지에서 사는 어떤 생명체에게는 우리가 좋다고 느끼는 가을 날씨가 너무나 더울 수 있다. 인간이 사막에서 살기 힘들듯이 말이다. 이것은 처음부터 추운 곳에서 살기 좋은 몸으로 태어났다는 뜻이다.
....
현대사회과학
현대사회의
과학기술과 인간
목차
1. 생물학 분야의 발전
1)생물학의 출현
2)실험적 방법의 도입
2.현대물리학의 출현
1)19세기 말의 물리학
2)로렌츠의 전자이론
3)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4)플랑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