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상론 - 한국의 원조정책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한국의 원조 원칙과 전략의 수립, 국민들의 의식 제고, 구속성 원조의 개선, 전문 인력 부족 해소

1. 국제통상론 - 한국의 원조정책들에는 .hwp
2. 국제통상론 - 한국의 원조정책들에는 .pdf
국제통상론 - 한국의 원조정책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한국의 원조 원칙과 전략의 수립, 국민들의 의식 제고, 구속성 원조의 개선, 전문 인력 부족 해소
[목차]

Ⅰ. 서론

Ⅱ. 정책과제
1. 원조 정책과 전략 수립의 필요성
2. 국민들의 의식 제고의 필요성
3. 구속성 원조의 개선의 필요성
4. 전문 인력 부족 해소의 필요성

Ⅲ. 선진 공여 국들의 사례
1. 원조 정책과 전략 수립
2. 국민들의 의식 제고
3. 구속성 원조의 개선
4. 전문 인력 부족 해소

Ⅳ. 한국의 원조국가
1. 부룬디의 정치상황
2. 부룬디의 경제상황

Ⅴ. 기대효과

Ⅰ. 서론

2009년 11월 25일, 한국은 원조를 받던 수여 국에서 원조를 하는 공여 국으로 탈바꿈했다. 60년 전까지만 한국은 원조를 받던 가난한 나라였다. 아프리카 보다 못사는 나라였던 우리나라가 OECD 원조국으로 들어가면서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서게 된 것이다. 빌 게이츠 빌 멜린다 게이츠재단 회장은 프랑스 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많은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상당한 원조를 주는 나라로 변신한 유일한 예로, 내가 자주 소개한다.” 라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해 한국 원조 규모는 세계 17위로 국민 1인당 3만원을 원조한 셈이다.
1996년 한국이 OECD를 가입한지 13년 만에 전 세계원조의 90%이상을 차지하는 원조선진국간의 기업에 가입했다는 것은 몇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불과 1.5세대 만에 수여 국에서 공여 국으로 바뀐 것은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사례이다. 또한 한국의 위상을 국제사회에서 인정받게 된 것이며, 나아가 한국이 그만큼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