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군대와 당은 정권을 지탱해주는 양대 축이며 오늘날 북한의 통치담론은 선군정치이다. 김일성의 정치가 ‘수령의 정치’였다면 김정일의 그것은 ‘선군정치’로 표현된다. 북한은 오늘의 시대를 ‘선군시대’, 시대사상을 ‘선군사상’, 시대노선을 ‘선군노선’, 시대정신을 ‘혁명적 군인정신’으로 규정한다. 선군정치란 군사선행의 원칙에서 군사를 국사중의 제1 국사, 즉 군사를 국정의 최우선 목표로 하여 [군대를 중시하고 군력을 강화하는 데 선차적(先次的)인 힘을 넣는 정치]이며 이에 따라 [인민군대를 혁명의 ‘주력군(main-force)’으로 내세워 사회주의 위업 전반을 밀고 나가는 김정일 시대의 독특한 정치방식]으로 규정된다. 흔히 말하는 혁명의 ‘주체(main body)’라는 용어는 선군시대에서 주력군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다. 북한의 이론에 의하면 선군시대 혁명의 주체는 수령․당․군대․인민의 통일체(선군통일체)이며 주력군은 군대이다. 이런 의미에서 인민군대는 선군시대의 인간과 투사(鬪士), 인재를 육성하는 ‘선군혁명대학’으로 간주된다.
....
북한학 - 북한의 선군정치에 관해서 [목차]
1. 이데올로기(Ideologie) 개념
2. 북한의 주체사상
3. 선군정치 개념
4. 북한의 선군정치 등장 배경
5. 북한의 선군정치 특징
6. 선군정치의 한계
7. 북한의 대남전략
1. 이데올로기(Ideologie)의 개념
..
북한의 선군정치 발생 배경과 특징 북한의 선군정치 발생 배경과 특징
1. 북한의 선군정치 발생
선군정치를 떠나서는 오늘의 북한을 알 수 없다. 이제 북한을 주체사상의 나라정도로 생각한다면 조금은 무지에 속할지 모른다. 북한은 선군정치를 ‘..
김정일의 선군정치의 유래와 기원 김정일의 선군정치의 유래와 기원
1. 북한의 주장
북한은 김정일의 선군정치가 1995년 정초를 기점으로 창시됐다고 밝히고 있다. 북한은 김일성 대국상(大國喪)을 치른 다음해인 1995년 1월 1일 설날 아침 김정..
북한 선군정치의 특성 북한 선군정치의 특성
1. ‘반제 자주노선과 통일의 보검’으로서의 선군정치
북한은 선군정치가 나라와 민족의 자주성을 실현해 나가는 ‘자주 정치의 최고 발현’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선군정치가 주체사상의 자주..
북한의 선군정치의 등장 배경 북한의 선군정치의 등장 배경
1. 선군정치의 등장 배경
북한에서 선군정치가 등장하게 된 가장 큰 배경은 무엇인가 선군정치는 사회주의권 붕괴, 김일성의 갑작스런 사망, 심각한 자연재해로 인한 최악의 경제난..
북한 선군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북한 선군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1. 선군정치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선군정치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보면 ①사상에서의 주체, 정치에서의 자주, 경제에서의 자립, 국방에서의 자위라는 4대 기본 노선의 주체사..
북한 정권의 선군정치의 한계와 전망 북한 정권의 선군정치의 한계와 전망
1. 선군정치의 한계
선군정치는 사회주의 체제수호와 김정일정권 유지에 복무하는 정치다. 모든 정치적 이데올로기는 여러 가지 제도화된 수단이나 상징조작 등을 통해 스스..
북한의 강성대국 건설 목표와 선군정치 북한의 강성대국 건설 목표와 선군정치
1. 강성대국 건설의 총체적 기제로서의 선군정치
‘강성대국(Powerful and Prosperous Nation)’이란 김정일 시대의 국가전략 목표이자 통치구호이다. 이는 “사상과 군사강..
사회주의 붕괴에 대한 북한의 시각과 선군 정치 사회주의 붕괴에 대한 북한의 시각과 선군 정치
1. 사회주의권 붕괴와 북한의 위기
선군정치는 사회주의권 붕괴, 김일성의 갑작스런 사망, 심각한 자연재해로 인한 최악의 경제난, 남한에 의한 흡수통일 우려, ..
북한의 핵무기 보유의 정치적 의미 북한의 핵무기 보유의 정치적 의미
1. 핵보유국의 지위와 체제 유지
원래 북한의 핵무기개발은 선군정치와는 무관하게 시작됐으나 핵 보유 선언에 이어 핵실험까지 단행한 북한은 핵무기가 선군정치의 ‘자랑스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