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참을성인가, 아이에 대한 이해인가, 제2장 잘못된 행동인가, 실수 행동인가
아이의 행동을 실수라고 보아야 하는 가 잘못이라고 보아야 하는 가를 볼 때 교사가 아이의 행동을 잘못이라고 본다면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였을 때 스스로 참아야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참는 기간이 길게 되면 자신의 한계에 달하게 되고 이 상황에서 아이는 패자가 되어 열등감을 느끼게 된다. 여기서 참을 성이란 ‘고통이나 시험을 조용히 또는 불평 없이 참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아이의 행동을 실수라고 보았을 때 교사는 아이를 이해 할 수 있게 되고 그 실수를 다시 하지 않도록 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행동을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때는 ‘참을성’이라는 단어가 필요 없어진다. 아이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아이는 성장과 발달을 하게 된다. 아이의 이해를 중시하는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학술지 구독 등으로 최근의 유아교육 이론과 아동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줄 수 있다. 성인의 기대는 아이의 발달적 능력에 적합해야 하고 학습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가이던스에 기초한 아동생활지도를 읽으면서 실수를 했을 때 어떠한 방법으로 또한 갈등의 정도에 따라 어떤 방식이 필요한 지 알게 되었는 데, 이 책에서는 수준을 3가지로 두어 나누었다.
-수준3에서는 아이가 강력한 욕구에 의해서 하게 되는 살수 이며 이 행동은 과거에 아이가 겪은 고통스러움을 통한 상처의 결과인 것이다. 아이는 학급이 안전한 곳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수 행동을 보인 것으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서 한 행동이며 이 때 교사는 포괄적 접근을 취하고 부모나 여러 분야와 함께 아이를 위한 개별 지도계획을 세우는 것이 적당하다.
....
이혼가정을 위한 프로그램 이혼가정을 위한 프로그램
Ⅰ. 한국의 이혼 실태
이혼 늘고 혼인은 준다
통계청이 21일 내놓은 2001년 혼인․이혼통계 결과
이혼 건수 2000년 - 12만 건 / 2001년 - 13만5천 건
⇒차이 (1만5천 건) 하루 평균 370쌍..
선택한 보육교사에 대한 자아상과 그 선택의 이유에 대해 작성하시오 2보육교사에 대한 자아상
보육교사를 선택한 이유
보육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노력
그 결과 내가 선택하게 된 직업이 바로 '보육교사'이다.
내가 선택한 보육교사에 대한 자아상과 그 선택의 이유에 대해..
5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1학기 연계 20명 교사 : "탐구활동에서는 차례를 기다리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른 친구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지도하고 있습니다. 아이가 조금씩 변화를 받아들이고 있는 모습이 보여요."
교사 :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