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문화사회의 도래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바람직한 사회통합을 꿈꾸며
2
List
List
목 차
다민족 다문화 사회의 도래
사회구조의 변화
사회구조변환의 영향
단계별 전개과정
갈등과 해결과제
1. 다문화사회의 도래
3
외국인의 증가
출처 : leeesann.tistory.com
1. 다문화사회의 도래
4
외국인의 증가
정식적으로 등록된 외국인은 85만 4천여 명
체류 외국인은 116만여 명
전체 인구의 약 2%가 외국인
해마다 계속해서 증가 추세
1. 다문화사회의 도래
5
외국인의 증가 원인
1. 다문화사회의 도래
6
외국인의 증가
2. 사회구조의 변화
7
사회구조의 변화
2. 사회구조의 변화
8
심각한 출산율 저하
합계출산율(TFR : Total Fertility Rate)의 변화
2. 사회구조의 변화
9
출산율 저하와 고령사회
2000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이 7.2%에 달하며, UN이 지정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시작
1990년의 5.1%에 비해 10년간 2.1%가 증가하는 놀라운 상승률
현재 추세라면, 2019년과 2026년에는 각각 ‘고령사회’와 ‘초 고령사회’에 진입 전망
2. 사회구조의 변화
10
출산율 저하와 고령사회(표)
유년 및 노령인구 비중과 노령화 지수 추이
★ 노령화 지수 = (65세 이상 인구) / (0-14세 인구) X 100
2. 사회구조의 변화
11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배경
2. 사회구조의 변화
12
외국인 근로자의 영향력
국내 3D 업종의 기피
생산 인력 부족
지방 건설업계 현장에서는 이미 20~30% 이상이 외국인근로자
전체 경제활동에서 3~4%를 외국인이 차지
지속적인 국내 노동시장의 외국인 의존도 상승
2. 사회구조의 변화
13
결혼이주자의 증가
....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접근 모형 13p 차별적 배제모형, 동화주의 모형, 다문화주의 모형을 각각 간단히 정의하고, 당신이 가장 지지하는 문화 다양성 접근 모형을 선택하여 그 이유를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논하시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다문화 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