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이란 결핵균의 감염에 의해 생기는 감염성 질환이다. 결핵균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므로 가장 많이 침범하는 부위가 폐이며 이 곳으로부터 피나 림프액의 흐름을 타고 여러 장기에 이르게 된다. 또한 기관에서 목, 코, 귀로 올라가거나 식사와 함께 장에 이르러 온몸으로 전파되는 경우가 있다.
이 질환은 인체의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는 전염성이며 감염성인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다.
2. 결핵의 발생과 감염
(1) 발생
① 제1기 전파: 활동성 결핵 환자가 기침 혹은 재채기를 할 때 결핵균이 포함되어 있는 기포가 발생하고 이 기포가 말라 수분을 잃어버리면 비말핵이 된다. 수불을 잃어버려 가볍게 된 비말핵은 무거운 기포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다른 사람의 폐포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비말핵을 형성해 폐포까지 도달한 결핵균은 폐포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에 포식된다.
②제2기 감염,증식,파종 : 일단 대식세포에 포식된 결핵균은 제거되어 더 이상 감염을 일으킬 수 없게 되며, 혹은 살아 남아 숙주를 감염시키기도 한다. 이 단계에서 결핵균의 생존여부는 숙주의 면역력과 결핵균의 병원성에 의해 결정된다.
대식세포 안에서 살아남은 결핵균은 수십 년 간을 잠잠히 있어 숙주를 감염시켰지만 임상적인 결핵은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는 결핵균이 대식세포 안에서 증식한 후 대식세포를 죽이고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 결핵균들이 여러 대식세포나, T 림프구, NK cell등과 interferon-gamma, IL-12등의 cytokine 들이 참여하는 국소적인 숙주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만 다시 살아 남아 폐문 림프절까지 침범한다.
....
약과 건강 - 결핵이란 어떤 질환인가 약과 건강
결핵이란 어떤 질환인가
1. 결핵이란
결핵은 결핵군(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의 전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발생하지만 뇌, 척수, 임파선 등 인체의 모든 장기에 발..
약과건강 - 결핵에 대해서 1. 결핵이란
결핵(結核)은 미코박테륨1)1) 미코박테륨(Mycobacterium) : 세균의 한 속인 미코박테륨속에 속하는 세균으로, 미코박테륨속은 홀로 미코박테륨과를 이루고 있다. 결핵이나 나병 등을 일으키는 여러 ..
공중보건 - 전염병에 대해서 ▶ 결 핵 ◀
정의 : 결핵은 기원전 7천년 경 석기 시대의 화석에서 그 흔적이 발견된 이래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 질환으로, 1882년 독일의 세균학자 로버트 코흐(Robert Koch)가 결핵의 병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