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분에 대한 연구에 관하여는 Brake와 Bailey의 연구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집합행동으로서의 사회운동은 몇가지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2. 사회운동의 영역 구분
첫째, 참여조직의 결성이다. 이러한 참여조직은 여러형태로 구분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집단을 구성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두번째의 영역은 복지국가 노동조합정치라 할 수 있다. 사회사업가는 그가 일하고 있는 실천의 영역에서 노동자로서의 의식을 성립하고 노동조합을 결성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노동조합과의 연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사업가의 노동자로서의 의식과 노동운동과의 연계는 중요한 이슈인데 사회사업가 자신의 노동조건에 대한 개선과 사회사업가에 대한 경제적 착취를 드러내고 불공정한 사회구조에 대한 변화를 도모하는 길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한 세번째의 영역은 지역사회의 이슈와 정치에 개입해 나가는 것이다. 즉 실천에 연관성을 가지는 사회사업실천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보적 대안들에 대한 개입을 발전시키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 성의 정치학(sexual politics)이 그러한 예인데, 경제에 봉사하는 여성의 정치적 중요성에 관한 통찰력을 제공해주는 페미니즘은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게이사회사업가집단(Gay Social Worker Group)이나 게이보호관찰관집단(Gay Probation Officer Group)등은 일하는 동성애자들에 대한 의식과 양성적 헤게모니(bisexual hegemony)에 대항하는 성적 오리엔테이션의 대안적 개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네번째의 영역은 조직내에서의 분권화와 민주화라 할 수 있다. 사회사업가 자신이 속한 기관이나 조직에서의 위계적인 구조를 제거해나가는 활동양식을 개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집단적으로 행동함으로서 광범위한 기반을 가진 정치적 운동들과 연계를 가지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