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전통주의적 차원에서의 백두대간식 표기 복원의 필요성 등이 주장된 일이 있다. 그 외에도 이에 유사한 주장과 백두대간 논의가 다양하게 언론수단을 통해 표출되어오고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주장과 논의는 언론의 자유, 탐구 및 사유의 자유 등이 보장되어 있으므로 일단은 바람직한 것으로 볼수 있다. 그러나 韓國地理를 가르치고 한국지리론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地理學者의 입장에서 이러한 주장들을 대하고 읽어보면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첫째는 깊은 학문적 논구와 用語使用의 적절성에 대한 신중한 검토결과 등에 바탕을 두고 주장이나 논리가 제시되었으면 좋겠는데, 대부분의 경우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그같은 제시나 주장들이 무슨 '붐'처럼 번져가고 있고, 일부에서는 그 제시나 발표가 紙上을 통해서든 방송에 의해서든 경쟁적으로 행해지는 감마저 있다는 점이다.
'백두대간'의 개념, 용어, 내용, 사용 타당성 등이 전문적인 관계 학계나 학자들에 의해 깊이 있게 탐구 검토된 연후에 그 사용이나 소개가 널리 보급되어야 바람직한데, 지금까지는 아쉽게도 이점이 그렇지 못하였으며, 설사 관계학계의 一員이 언론매체를 통해 백두대간 관계 주장을 펴더라도 그 주장은 신중하고도 비판성 있게 이루어졌어야 좋았겠는데, 그 신중성이나 비판성이 부족함이 적지 않았다. 또한 학문적 주장이나 제시가 유행이나 유행을 타는 장사처럼 붐을 일으키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한편으로는 바람직한 일은 못된다는 것이 필자의 평소 생각이다.
본 고에서는 '백두대간'식 산맥표기의 출현, 특징, 사용기간 등을 밝힐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백두대간'식 산맥 표기란 [山經表] 등에 표기된 '백두대간', '장백정간', '한북정맥', '낙동정맥' 등처럼 산맥들을 ' 대간',' 정간',' 정맥'처럼 표기한 것(그린 것 포함)임을 말해 둔다.
....
백두대간의 보전 및 관리방향 백두대간의 보전 및 관리방향
1. 백두대간의 생태적 의의
국토의 70%정도가 산지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경우 이들 산과 이어진 산줄기의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살아왔으며, 국토의 등뼈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강원도 발전을 위한 제안 강원액션2020 1
『강원도 중심, 강원도 세상』GANGWON ACTION 2020
2
차례
Ⅰ. 강원도의 현실
Ⅱ. 기회와 도전
Ⅲ. 강원도약 5대 전략의 추진
Ⅳ.몇 가지 제언들
3
宿命的 정주민 選擇的 정주민
⇒현 지역 계속 정주의식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