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통합 과정에서의 경제통화동맹

1. 유럽통합 과정에서의 경제통화동맹.hwp
2. 유럽통합 과정에서의 경제통화동맹.pdf
유럽통합 과정에서의 경제통화동맹
유럽의 경제통화동맹(EMU : Economic and Monetary Uinon)

1. 들어가며

1970년대 이후, 유럽통합 노력은 유럽통화제도와 정치통합에 집중되었다. 공동 농업정책과 지역정책등 많은 정책이 수행되었지만, 모든 노력은 유럽통화제도(EMU)로 이어졌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유럽정치협력(EPC)이 가속화되었다. 공동농업정책, 사회정책, 지역정책등의 문제들은 재정 문제로 항상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통화제도의 필요성을 공유하게 되었다. CAP에 나타난 재정조달방식의 변화(후주1)는 보다 효과적인 통화기구를 설립할 동기를 부여한 것이다.

2. 경제통화동맹 창설

1969년 헤이그 정상회담에서 1980년에 경제통화동맹(EMU : Economic and Monetary Uinon)을 창설하기로 합의를 보았고, 1970년 3월 6일에 모든 회원국들의 중앙은행장들과 협의하여 EMU에 대한 여러 가지 안을 검토할 베르네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동년 10월 17일에 제출된 베르네보고서는 EMU의 실현을 위하여 공동체의 대대적인 개혁을 제안했다. 첫째, 국가차원이 아닌 공동체 차원의 경제통화정책을 결정할 독립된 유럽중앙결정기구의 창설, 두번째로 미국의 연방화폐 보유시스템을 모델로 한 공동체 시스템의 중앙은행설치였다.
동년 10월 29일에 각료이사회에 제출된 집행위원회의 제안은 베르너 보고서보다 훨씬 신중했지만, 회원국들 사이에 의견대립이 심각했다. 특히 모든 부담을 지기 꺼려하던 서독과 초국가기구 창설에 결사반대였던 프랑스로 인해 대립은 심각해졌다. EMU에 대한 견해가 달라 난항을 거듭하던 협상은 이듬해인 1971년 2월 9일에 가서야 겨우 타협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