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의 매커니즘은 크게 인간 삶의 사회적인 측면과 심리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먼저 사회적 측면으로 유머를 접근해 보면 유머는 시대적 문화적 공유성을 전제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유머의 상황은 ‘웃음은 만국의 공통어’라는 대전제와 상식을 크게 뛰어넘고 있다. 최불암 시리즈와 덩달이 시리즈, 만득이 시리즈, 사오정 시리즈 등 대부분의 통신유머들은 일부 세대와 계급, 성별, 업종, 연령층에게는 큰 즐거움과 웃음을 주지만 일부에게는 전혀 이해할 수 없고 감응할 수도 없는 암호체계로 다가온다.
2. 유머의 매커니즘
심리학자들은 웃음에는 개인차와 문화차, 심지어는 시간차와 공간차 등 수많은 변수가 존재한다고 한다. 강문희는 “유머는 무엇보다 시대적․문화적 공유가 전제되어야 웃음으로 이어진다.”고 말하며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유머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가져오는 가장 큰 변수로 세대차를 꼽았다. 세대간의 경험과 이해의 공감대가 엷어지면서 웃음의 공유폭이 좁아졌다는 것으로 마음이 통하지 않으면 웃음도 통할 수 없다는 주장이었다. 이에 대해 신경정신과 전문의 김정일은 웃음의 공감대가 넓은 사회가 좋은 사회라 주장하였다. 이 말의 뜻은 세대간에 웃음을 공유할 수 없는 관계의 단절 속을 살아가고 있는 한국 사회는 건강한 사회로 볼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사회적 측면으로서 유머는 사회의 반복적으로 관습화된 관행에 대한 파괴와 새로움에 대한 추구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정준영은 “웃음은 관습화된 일상을 비트는 데서 나온다. 유머는 일상을 비틀고 싶은 사람의 욕망을 반영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즉 사회적 측면으로 살펴볼 때 유머는 그 사회의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적인 공감대를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또한 관습화된 일상에 갇혀서는 안되며 반복적인 일상을 비틀 수 있는 참신성을 획득해야 한다는 역설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유머에대하여,유머의효과 유머
유머는 죽음, 질병, 굶주림, 공포와 고통 같은 어려움을 견디게 해 주는 묘약이다. 우리가 하나로 뭉칠 수 있도록 묶어주는가 하면, 유머를 무기로 사용하면 서로 반목하게 만든다(Hopkins).
1. 서론
..
90년대통신유머연구(논문) 1. 문제 제기
1.1 연구의 목적
유머는 사람들을 웃게 한다. 유머는 고도의 지성과 감성이 균형적으로 발달된 성숙한 인격에서 우러나오는 가장 인간적인 삶의 방식이다.
90년대는 유머의 시대이다. TV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