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도매상과 소매상

1. [경영학] 도매상과 소매상.hwp
2. [경영학] 도매상과 소매상.pdf
[경영학] 도매상과 소매상
도매상과 소매상

Ⅰ. 중간상의 기능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는 간격(gap)이 있다. 이러한 공간, 시간, 인지, 소유 그리고 가치의 간격을 형태, 시간, 장소 및 소유효용을 창출함으로써 메워주는 것이 바로 유통활동이다. 특히, 소매상과 도매상은 바로 이러한 간격을 좁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장소, 시간, 소유 그리고 때로는 형태효용을 창출한다.
유통기능은 판매 ․ 구매 ․ 위험부담 기능을 포함하는 거래기능, 수송 ․ 보관 ․ 소량판매 ․ 구색 기능을 포함하는 물적 유통기능 그리고 재무 ․ 등급분류 ․ 정보제공 ․ 애프터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촉진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기능은 어떤 특정형태의 중간상에게만 전적으로 위임되지는 않는다. 제조업자나 도매상 ․ 소매상 심지어는 소비자까지도 이들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명제를 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유통기능은 누군가에 의해서 항상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느 특정 경로구성원을 없앨 수는 있어도 그 기능은 없앨 수 없다. 둘째, 중간상을 없앤다고 해서 반드시 비용이 줄어 드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특정 도매상 ․ 소매상은 그 기능을 제조업자가 수행하는 것보다도 더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통기능이 제품시장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부문과 비영리 조직의 활동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및 비영리 조직도 제조업체와 마찬가지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와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공간, 시간, 인지, 가치면에서의 간격을 줄여야 한다. 따라서 서비스업 또는 비영리 조직의 경우에도 장소 및 시간효용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입지선정, 영업시간, 정보제공 및 판매 또한 중요한 기능이 된다. 개인병원의 의사들이 외래진료를 통해 장소효용을 창출하고, 은행이 자동현금인출기를 설치해 놓고 고객에게 시간효용을 제공하는 것 등이 좋은 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