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즘의동양시학적가능성고찰

1. 이미지즘의동양시학적가능성고찰.hwp
2. 이미지즘의동양시학적가능성고찰.pdf
이미지즘의동양시학적가능성고찰
이미지즘의 동양 시학적 가능성 고찰
- 언어관과 자연관을 중심으로 -

1. 머리말

이미지즘은 서구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동양의 한시적 전통 속에서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이미지즘은 항상 서구 중심으로 논의되면서 그 발생구도의 선후가 뒤바뀌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중국의 시론에서 영향을 받은 이미지즘이 한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였으며, 그 수용 과정에서 굴절되고 변질된 요소나 한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전무하다고 할수 있다. 이러한 고찰들이 선행되지 않은 결과 한국 현대시의 이미지즘은 한시의 전통과는 무관하게 영미 이미지즘의 영향수수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이미지즘에 속하는 시적 특징들이 동양의 시적 전통을 잇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시적 전통과는 무관하게 서구에서 이입된 외래 양식으로의 규정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오류가 별다른 문제없이 계속 답보되어 왔던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문학 연구자들의 관성적인 접근을 들수 있다. 서구 문학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했던 1920년대 한국시단의 상황에서 당시 유행하던 영미 이미지즘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시들은 자연스럽게 서구의 영향에 귀속되게 되었다. 또 하나, 서구에서 명명된 이미지즘이란 용어를 우리가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한 것도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에서 이미지즘으로 평가받는 시들은 언제나 서구 문학이론에 기대어 논의되거나 종속적 위상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외형적인 시법이나 시적 양식이 우연히 같은 시기에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일대일 영향수수 관계로 설정한다는 그 자체가 문제였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