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의 우리말 어원은 알려진 바도 없으며 연구된 바도 없다.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대부분의 색채학 책에서는 ‘보라’를 순수한 우리나라 말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나 입증할 만한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1)
보라색은 유채색의 기본색명(基本色名)의 하나로 관용색명은 보라, 한자로는 자(紫)로 표기된다. 먼셀 색 이름은 퍼플(Purple)로 파장범위 380~440에 해당한다. 약어로는 p로 표기하고 명도 3, 채도 12에 해당하는 중성색계의 색으로 정의된다.
보라색에 대한 명칭은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퍼플(Purple)과 바이올렛(Violet)이 혼용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본 레포트에서는 퍼플(Purple)과 바이올렛(Violet) 그리고 최초의 합성 염료인 모브(Mauve)의 정의 및 역사 유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천연염색에 대하여 천연염색에 대하여
천연염색의 역사
색깔은 문명의 발달과 함께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대인들은 악마를 쫒거나 질병, 해충, 등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염색된 천을 몸에 걸치거나 몸에 색을 칠하였..
현미경 사용법 및 단순염색 simple stain과 그람염색 gra 실험 제목 : 현미경 사용법 및 단순 염색(simplestain)과 그람 염색(gramstain)
그람 염색을 통해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을 구분하고, 염색의 원리와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사진 1.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