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산불 피해지의 임목피해 특성 및 초기변화

1. 고성산불 피해지의 임목피해 특성 및 .hwp
2. 고성산불 피해지의 임목피해 특성 및 .pdf
고성산불 피해지의 임목피해 특성 및 초기변화

고성산불 피해지의 임목피해 특성 및 초기변화
山林環境部 林 柱 勳

본 내용은 임업연구원 산불연구실에서 수행한 『산불피해지 복구관리 및 생태계 변화조사(’97~2006)』연구의 ’98년도 결과 중 임목피해조사에 관하여 요약한 것임.

1. 머 리 말

산불피해지역의 임목 및 임지회복과 생태계 변화과정을 조사하여 합리적인 산불 피해지 관리 및 복구방안을 수립할 목적으로, ’96 고성 산불 피해지에 대하여 ’97년부터 100㏊ 규모의 영구 조사구를 설치하여 8개 분야에 대한 생태계 변화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여기서는 생태계 변화 중 피해목의 도복현상과 피해 임분의 초기 변화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2. 피해목의 도복현상

조사구
면적
(㏊)
수 종
수고
(m)
경급
(㎝)
경사
(◦)
방위
연소
형태
연소
강도
제1
(구성리)
30
소나무, 활잡류

10

10

10~30
NW
타원형
심함

6~12

6~26

제2
(인정리)
70
소나무, 활잡류

10

10

10~40
N
부채꼴
극심

6~15

6~30

<表 1> 고성산불 영구조사구 개황
지금까지 산불피해지에 대한 관리기술은 산불 발생후 피해목을 벌채한 후 조림하는 방향으로 한정되었으며 피해목을 존치한 경우의 생태계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구성리 및 인정리 소재 국유림지역에 설치된 총 100㏊ 규모의 영구조사구<表 1>에 대하여 산불 발생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해목의 초기 도복(쓰러짐)현상 ’96년 4월 고성산불 발생이후 ’98년까지 3년동안의 도복현상의 경향은 다음과 같다.

가. 발생시기 및 위치

1) 산불 발생후 첫해인 ’96년과 ’97년에는 뚜렷한 도복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2년이 경과한 ’98년 추기부터 도복현상이 나타났다.
....
농학, 수산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