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폭력과 비폭력의 문제
2. 민중의 역할과 주도층 문제 (3.1운동의 대중화 문제)
3. 민족대표의 역할에 대한 평가 문제
4. 민족대표의 대표성 부여 문제
Ⅳ. 결말
- 민족대표 33인의 역할과 민족대표성 평가 -
Ⅰ. 머리말
일제하 최대의 독립운동이었던 3 . 1운동은 그 이듬해 박은식에 의해 『한국독립운동지혈사』로써 정리되기 시작한 이래 내 외국인에 의해 독립운동사 가운데 가장 큰 관심을 받아왔다.1)1) 이정은 ,「3 .1 운동 연구의 현황과 과제」(『한국사론 』26, 국사편찬위원회, 1996 , pp. 3 (1-3)
특히 매 10년마다 맞는 50주년 (1969년) 60주년 (1979년) 70주년 (1989년)의 기념 주기를 전후하여 집중적인 관심과 조명을 받아왔다.2)2) 위의 글, p. 3 (3-5)
그러나 남북한의 체제에 따라, 시기별로도 해방 후부터 80년대로 오는 동안 시각차이가 있어왔고 특히 80년대를 지나오면서 뜨거운 쟁점을 형성하고 있다.3)3) 위의 글, p. 3 (5-8)
그래서 이러한 연구의 진전과정에 대해 이미 연구사 정리가 있어왔고 1990년부터 1996까지 총 74편의 논저가 나왔다.4)4) 위의 글, p. 3-4 (8-9,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