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 발전 전망과 교육 과제

1. 한국의 사회 발전 전망과 교육 과제.hwp
2. 한국의 사회 발전 전망과 교육 과제.pdf
한국의 사회 발전 전망과 교육 과제
【주제발표】

한국의 사회 발전 전망과 교육 과제

김 문 조
(고려대학교 교수)

목 차

1. 서 론
2.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래상
3. 새로운 변화의 성격
4. 사고구조 및 행동양식상의 변화
5. 개방사회의 발전 목표와 문제점
6.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과제

1. 서 론

20세기의 만료를 목전에 둔 세계는 지금 ‘문명사적 전환’이라 지칭되는 격변의 와중에 놓여 있다. 봉건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이행을 담당했던 근대적 변혁(modern transformation)의 파장에 이어, 후기산업사회라는 새로운 파고를 맞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날로 치열해지는 국제경쟁에서 뒤지지 않기 위해 새로운 시대 환경에 부합된 합리적 발전 목표 및 수단을 개발하고자 진력하고 있다.
지난 30여년간의 지속적 경제성장세에 힘입어 선진국 대열로의 진입을 꾀하고 있는 한국사회 역시 그러한 상황에 직면해 도약을 위한 압축적 발전에 매진 중이다. 그 결과, 우리 사회는 1인당 GNP 만 불 수준을 돌파했고, 세계 7대 교역국으로 성장했으며, 또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함으로써 경제대국으로의 면모를 다져 나가고 있다. 그러나 경제를 위시한 정치, 사회, 기술, 문화 등 각종 분야에 산적한 우리 사회의 부조리나 모순은 후속적 발전을 차단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민 실생활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 대다수에게 한국사회는 아직 선진국 수준에 이르지 못한 중진국이나 예비선진국 정도에 불과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한국가족문화학회, 1997).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