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기 경제구조연구의 성과와 과제

1. 개항기 경제구조연구의 성과와 과제.hwp
2. 개항기 경제구조연구의 성과와 과제.pdf
개항기 경제구조연구의 성과와 과제

개항기 경제구조연구의 성과와 과제
하 원 호** 高麗大學校 文科大學 韓國史學科 講師.

Ⅰ. 연구현황
개항기 경제구조에 관한 연구는 한 때 일본학자들의 전유물이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자본주의 발전과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연구성과물이 그대로 한국사의 이해에 도입되었다. 물론 국내에서도 이미 1960년대에 규장각 사료를 이용한 한우근에 의해 ‘동학란’의 원인규명과 관련해서 연구성과가 나와 그 결과물이 한국개항기의 상업연구(1970, 일조각) 등 몇권의 저서로 출판되기도 했다. 한우근의 논저는 한국인의 입장에서 이 시기 경제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 한 역작으로 평가된다.
1970년대에 최유길과 김경태는 당시 국내학자들이 거의 사용하지 못했던 일본측의 무역자료를 이용하여 무역문제를 분석했다. 특히 김경태의 일련의 연구는 고인이 되기 직전인 1990년대까지의 성과를 묶어 유고집 한국근대경제사연구(1994, 창작과 비평사)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미곡문제를 중심으로 불평등조약의 체계의 수립과정과 상권회복을 위한 한국측의 노력을 그린 노작이다. 또 광무개혁논쟁과정에서 김용섭은 광무양안분석을 통해 농업구조와 광무개혁의 지주적 성격을 밝혔고, 강만길은 대한제국의 상공업문제를 다루었다. 그밖에도 열강의 이권침탈이란 측면에서 광업문제를 다룬 이배용 등의 연구도 있었다. 그렇지만 1970년대까지는 여전히 일본학자의 연구성과가 개항기 경제사연구의 주요한 성과로 남아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
경영,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