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파괴에 대해

1. 가격파괴에 대해.hwp
2. 가격파괴에 대해.pdf
가격파괴에 대해
☞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일반 消費財나 서비스요금들에 대한 가격파괴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시외전화요금이 50.5 % 가 내렸고, 정유업계의 價格割引 경쟁, 할인점과 백화점등 소매업계의 가격인하 경쟁을 시작으로 전자, 의류, 화장품, 신발등 그 파장이 메이커제품으로까지 파급되고 있다. 가격인하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은 供給過剩과 치열한 신모델 경쟁에 시달리고 있는 가전업계들이다. 여기에서 굳이 가격파괴라는 단어 대신에 가격인하경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두가지 용어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가격인하경쟁이란 특정품목에 대해서 일정기간동안 경쟁적인 引下率을 정해 놓고 판매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엄연히 소비자권장가격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턱없이 높은 수준으로 정해져 그동안 소비자를 우롱해 왔던 가격을 조금 내린다고 해서 그것을 가격파괴라고 한다면 또 한번 소비자를 기만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진정한 가격파괴가 시작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할수도 있다. 이에 반해 가격파괴란 어느품목 가릴것 없이, 그리고 기간에 상관없이 파격적인 가격수준으로 질좋은 상품을 소비자에게 無差別的으로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권장소비자가격 자체가 파격적인 수준이고 품질은 정상품에 비해 손색이 없다. 차이가 있다면 내셔널 브랜드가 아니라는 점과 기존 경쟁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政經密着形 제도권 기업의 생산품이 아니라는 점이다. 유감스럽게도 아직 우리에게는 이러한 수준의 상품이 드물다. 유통시장의 전면개방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에 외국의 대형 유통체인들이 등장하게 되면 가격인하 경쟁의 바람은 더욱 더 거세질 것이다. 그것은 곧 진정한 가격파괴의 시작을 의미하게 될 것이다.

☞ 가격파괴의 성립조건
....
경영,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