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유동성과 안전성이 높은 자산은 수익성이 낮고, 수익성
이 높은 자산은 유동성과 안전성이 낮다. 그러므로 금융기관의 경영
에 있어서 단기적으로는 유동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
는 수익성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금융기관은 국민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금융기관의 경영은 공익에 부합해야 한다.
1. 유동성의 원칙
금융기관의 예금 또는 이에 준하는 금융기관의 부채는 고객이 인
출을 요구할 때 즉시 지급해야 하는 의무를 가진 반면에 금융기관의
자산은 즉시 현금화 할 수 없다. 따라서, 금융기관은 고객의 부채 또
는 예금의 인출요구에 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동성자금을 확보해
야 하는데, 이를 예금유동성의 원칙이라고 한다.
또한 금융기관의 단골고객이 자금을 필요로 할 때 그 수요를 충족
시켜 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을 대출유동성의 원칙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서 금융기관은 특정 소수의 대출고객에게 여유자금을 과다하게
대출해서는 안되며 대출자금 수요를 예측해서 유동성자산을 준비해
야 한다. 물론 이러한 대출유동성문제는 금융기관대출에 대한 초과수
요가 상존하고 있는 현재에는 별로 큰 문제로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금융기관들 사이에 안정적 예금 및 우량 대출고객 유치경쟁
을 벌여야 할 시대가 곧 도대할 것이므로 그 때에는 대출유동성의
확보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될 것이다.
....